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클럽 K-클럽

공지사항

「청년 과학기술인 경력성장 가이드북 2025」개정판 발간 안내

조회수14 등록일2025-11-17

청년 과학기술인의 진로 탐색과 경력 설계를 체계적으로 돕기 위해

KIRD(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에서 발간한「청년 과학기술인 경력성장 가이드북 2025」개정판을 소개합니다.


이 가이드북은 최신 조사·통계, 실제 선배 연구자의 생생한 경험, 진로 유형별 요구역량 등을 기반으로

이공계 청년 연구자들이 현실적인 경력전략을 세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설계된 종합 안내서입니다.



■ 가이드북 주요 구성


첫째, 청년 과학기술인의 고민과 현실 진단

- 대학원생·박사후연구원 대상 정성 분석 및 통계 자료 수록

- 진로 고민, 연구실 생활 어려움, 경력개발의 필요성 등 실질적인 현장의 목소리와,

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성과, 지도교수 조언, 일·삶 균형 등)을 담았습니다.


둘째, 과학기술인 경력경로별 요구역량(2024 조사 기반)

- 산업계·학계·연구계·공공계 4대 경력경로를 분석하여

R&D 기본·전문 역량, 리더십, 공통역량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습니다

* 산업계는 “전략적 사고·실행력”, 학계는 “연구기획·관리능력”을

* 연구계는 “정보분석·협업”, 공공계는 “전략적 사고·책임감”을 주요 역량으로 강조됨


셋째, 산·학·연·관 선배 연구자의 실제 경력 스토리

- 출연(연), 교수, 대기업 연구소, 스타트업, 공공 분야 등 다양한 경로의 인터뷰 포함하여

진로 전환 계기, 필요 역량,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비(非)R&D 역할(정책, 평가, 과학기자 등)도 폭넓게 소개하여 경력 선택의 폭을 확장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넷째, 이공계 커리어 탐색 TREE

- 석·박사·박사후연구원이 선택할 수 있는 진로를 쉽게 파악하도록 Tree 형태도 제공하였으며

- 진로 목표별로 가이드북에서 참고해야 할 페이지를 연결하여 활용성을 높였습니다.



진로 방향을 아직 정하지 못했다면,

산·학·연·관 중 어디가 맞는지 고민된다면,

연구실 생활 스트레스, 경력 불안이 크다면,

경력전환 또는 비(非)R&D 진로를 고려 중이라면,

앞으로의 5년 커리어 전략을 세우고 싶다면,


이 가이드북을 통해 해법을 찾고 자신의 진로 결정에 힌트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 첨부: 청년 과학기술인 경력성장 가이드북(2025년 개정판, PDF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