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RD 로고
고분자공학에서 전기차로 남초분야 개척]
뭐든 끝까지 버텨봐라. 그리고 나면 나중에 어느 순간, 이렇게 어느 선상에 올라와 있는 걸 발견할 수가 있거든요. 그래서 한번은 내가 정말 해보고 싶다고 하면, 끝까지 한번 어려움을 견뎌 내보는 그런 인내력을 가져 주는 게 정말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Q1 본인 소개 및 업무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
저는 현재 한국자동차연구원에 근무를 하고 있고요. 주로 이제 전기차 쪽 핵심부품 개발하는 파트를 제가 맡고 있습니다.
[신외경 센터장 사진
신외경 센터장
소속·직위: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구동연구센터 센터장
학력
경상대학교 고분자공학 학사/석사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
경력
한국자동차연구원 자동차 경량소재분야
자동차 전장부품 신뢰성 연구
자동차 전장부품 및 IT융합 부품
자동차의 전장부품 및 친환경차 부품 개발]
[Q2 취업 후 경력전화은 하게된 동기는? ]
소재 쪽은 사실은 굉장히 중요한 파트긴 합니다. 중요한 파트긴 한데, 자동차에 대한 메카, 뭐 이 정도로 생각을 한다면, 제가 여기서 그만두지 않는다고 생각을 한다면, 오히려 이제 조금 어렵더라도 이런 기계 쪽으로 베이스를 가진 쪽으로 변경을 해서 제 업무 역량을 넓혀보자는 계기가 마음에 좀 있었고요. 저랑 같이 일하시는 분도 마찬가지로 소재 보다는 오히려 이게 설계나 내지는 전체 그림을 그리는 쪽으로 하는 게 오히려 나한테 미래비젼이 있을 거라는 제시도 좀 해주셨어요.
[고분자공학에서 기계공학으로 전공을 바꿔 박사과정에 진학
무모하지만 의미있는 도전을 선택한 신외경 센터장]
[Q3 경력(업무) 전환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준 멘토는? ]
제가 사실은 한 5년여기에 있다가 박사과정을 가면서 박사과정을 가는 것도 베이스가 다른 기계 파트를 가다 보니까, 모든 사람들이 의아하게 생각하고, 기초도 안 돼 있는데 과연 누가 또 받아줄 것이며 이런 여러 가지 굉장히 선택할 때 고민이 많았거든요. 제가 한 1, 2년을 막 힘들어서 헤매고 있으면서 찾아갔더니, 대부분의 박사학위를 딴 사람들은 이게 완성된 결과가 나와 있는 사람들만 보기 때문에 쉽게 딴 거 같지만, 실제로 3분의 1은 애초에 포기하고, 3분의 1은 또 중간에 포기하고, 결국 남아 있는 3분의 1만 남은 거라는 표현을 하시더라고요. 그 정도로 중간에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근데 어찌 됐든 이 결과에 대한 부분들을 나중에 네가 어려운 과정을 이야기할 수 있으려면 결과가 나왔을 때 만이라고 말씀을 해주셨어요. 그 말씀이 저는 아, 정말 나만 어려웠던 게 아니고 내가 하려고 보니까 이렇게 어려운 거구나 뭐 이렇게 생각을 했었어요. 그래서 견뎌 냈던 것 같아요.
[Q4 경력전화의 의미 또는 가치는? ]
자기 전공을 바꾼다는 거나 자기가 하는 업무를 벗어나겠다는 것은 굉장히 모험이라고 볼 수 있거든요. 그래서 좀 신중하게 해야 되며, 그리고 본인이 정말 원하는 거에 대한 것을 본인한테 많이 물어봐야 됩니다. 수없이 이걸 내가 왜 했을까, 왜 이렇게 힘들지, 이렇게 힘들 줄 몰랐는데, 이런 여러 가지 자기와의 싸움이 엄청 강하거든요. 그냥 좀 쉽게 가거나 그냥 포기할까 뭐 중간에 이런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래서 제가 아까 인내심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씀을 드렸던 거 같고요. 새로운 걸 한다는 건 사실 누구나 두려운 거예요. 이게 도전을 해보면 그게 성공이 된다고 하면 그 다음에는 처음보다는 덜 두려움이 있겠죠. 또, 10년, 20년 후에 어떤 내 모습을 더 상상을 해보고, 더 성공한 내 모습을 내 모습을, 그게 이제 현실적인 아님 지적인 내지는 여러 가지 그러한 상황에서 내 생각을 해본다고 하면 충분히 그건 가치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Q5 경력개발 과정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셨나요? ]
자동차 쪽 분야가 굉장히 보수적이에요. 제가 입사할 때만 해도 저희 연구원에서도 세 명 밖에 여자가 없었거든요. 지금도 사실 5% 미만입니다. 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많다보니까. 그분들이 처음에 저를 딱 보면 이미지가 굉장히 약하다 보니까. 이미지가 약해 보이잖아요. 그러다 보니 그냥 좀 쉽게 보는 거죠. ‘쟤가 과연 할 수 있을까?’ 그래서 더 제가 열심히 했던 거 같은 생각이 들거든요.
[현재 그린카연구본부의 전기구동연구센터를 이끌고 있는 신외경 센터장
여성 불모지인 자동차 연구 분야에서
24년간 성공적으로 전기자동차부품 연구를 수행했다는 평가]
[Q6 경력전환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
지금 저희가 핫한 트렌드들이 많이 있잖아요. 근데 제가 10년, 20년 전에 그것들이 핫하지는 않았다고요. 그래서 제가 지금 전기자동차 관련 업무를 하고 있지만, 제가 10년 전에 전기자동차가 핫할 거라고 해서 제가 이렇게 한건 아니고 하다 보니 이렇게 온 거잖아요. 그ㅓ다보니 이게 어떤 분야의 핫하고, 어떤 분야에 내가 정말 인정받는 사람이 된다고 했을 때는, 정말 자기가 원하는 지에 대한 부분들을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정말 내가 공부를 재밌어 하고 원하고, 아니면 내가 그러면 성공하기를 원하고, 아니면 내가 돈을 많이 벌기를 원하는지, 아니면 내가 그냥 결혼해 가지고 그냥 살기를 원하는지, 이게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Q7 앞으로의 계획은? ]
지금 현재 하는 업무도 굉장히 즐거워하고 재미있어 하고 있기 때문에, 제가 하는 분야에 좀 더 깊이 있는 전문성을 가져가야 되는 부분들도 있고. 트렌드도 조금씩 변하기 때문에 그쪽 부분에 대한 기술적인 노하우를 쌓기 위해서 더 공부를 좀 깊이 있게 해야 되고. 그리고 앞으로 제가 10년 후에 은퇴를 해야 되는 상황인데, 은퇴하고 나서 계획은 지금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기술을 가지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쪽에서도 전기자동차 기술이라든가, 내지는 그런 쪽에 관련되어 있는 국제협력이라든가 이런 거를 통해서 제가 할 수 있는 기술을 전도할 수 있는 컨설팅 쪽 이런 쪽을 좀 더 진행을 해보고 싶은 그러한 욕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내면
어느 순간 인정받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
KIRD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