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클럽 K-클럽

동영상

은퇴 경찰청 과학수사관, 현장 감식으로 사건 해결하는 민간 CSI
  • 작성자전체관리자
  • 등록일2021-01-04
  • 조회수548
  • 추천수0
  • 댓글수0
자막안내

[KIRD 로고

은퇴 후 민간 과학수사의 시대를 연 개척자]

전문가는 죽을 때 까지 정년이 없다. 무한도전을 해라’.

민간협동조합의 과학 수사학의 개척 시대를 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Q1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십니까. 저는 한국법과학협동조합 전문이사 홍범기입니다.

법과학협동조합은 공직에 근무했을 때 전공을 했던 법과학자들, 주로 경찰에서는 과학수사, 감식업무 등을 담당하신 분들.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전문직으로 종사하다가 퇴직하신 분들.

, 검찰에서도 과학수사 파트에서 근무했던 경험자들이 주로 결성해서 만들어진 협동조합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홍범기 수사관 사진

홍범기 수사관

소속·직위: 한국법과학협동조합 전무이사

학력

한국방송대학교 행정학과 학사/석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수료

경력

과학수사 분야 경력 19

경찰수사연수원 외래교수

해양경찰청 범죄수사연구관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경찰사범대학원 외래교수]

[Q2 지금 수행중인 업무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

저 같은 경우는, 거짓말 탐지, 법최면 수사, 화재 감시, 해양과학수사, 변사체 부검 현장 감식 등, 여러 가지 다양하게 하고 있습니다.

거의 다 지원업무를 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희 같은 경우는 수사 기관에서 감정 업무를 하려면,

반드시 고소 고발, 수사인지 사건 등으로 인해서 감정 업무가 이루어지죠.

그런데 저희들은 수사 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수사 까지 안가도 감정이 꼭 필요한 사항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컨설팅 상담 등을 하고 있는 거죠. 그런 오해를 벗어날 수 있는 기회 제공도 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수사만 가지고 하는 것이 아니고, 저희들은 그러한 경우는 실비 지원 등을 통해서 주로 업무 지원을 해 주고 있죠.

[Q3 수사과정에서 과학기술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나요? ]

지금 이렇게 보이는 장비들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필요에 의해서 제작하신 분들한테

무슨 부분을 추가해서 해달라고 하면 해 줄 수 있는 것. 이게 과학에서 나오는 과학수사 장비죠.

과학 장비가 수사에 응용이 되는 것이지요. (거짓말 탐지기는) 외국에서 수입을 해서 쓰고 있습니다.

의자 밑에서 센서를 붙이는 경우에는 피검사자가 움직이지 않고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것이거든요.

고의적으로 범죄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서 움직임 같은 경우에는 과거에는 없었지만

현재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오면서, 이런 것을 해주면 좋겠다 싶어서 의자 밑에다가 그것을 설치해서 움직이면 그래프로 나타나게 되는 거죠.

[Q4 현재의 경력을 갖게 된 계기 및 동기는 무엇인가요? ]

퇴직 5년 전부터, 구상을 하고 은퇴 하면서 기관, 학교에 강의 지원을 다니다 보니까 많은 용기와 힘을 얻었습니다.

그래가지고 계획을 빠르게 추진할 수 있었고요. 미국에 세미나, 연수를 했을 때 미국의 사회제도를 보고,

또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우리 사회에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면 많은 범죄도 다양해지고

범죄 증가율도 나타날 것이고 하니 그러한 구상을 한 것이죠.

미국 같은 경우는 강력사건, 방화, 살인 사건 같은 경우에는,

수사기관에서는 수사, 조사, 감정, 감식만 하고 빠지면

저희 같은 업체에 의뢰를 해서 청소라든가 정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거죠.

머리핀 하나, 동전 하나라도 떨어뜨리고 누락될 수 있는 것을 청소하면서 그냥 청소하는 게 아니고

샅샅이 한 번 다시 확인하고 청소를 함으로써 수사기관이 놓쳤던 것을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되는 거지요.

수사기관하고 민간기관하고 경쟁할 수 있는 경쟁구도도 되지만 실리성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생각합니다.

[Q5 경력개발 과정에서 집중했던 노력이나 역량이 있다면? ]

퇴직하고, KC대학에서 1년간 심리상담과정을 들었어요. 저희 업무와 연관성이 있어서 1년간 공부를 했고 심리상담 자격증도 받았고요.

저희가 감정 업무도 업무지만, 마음 적으로 아프신 분들을 치유할 수 있는 상담이라든가,

사건하고 엉켜있지만 상담을 받아야 하는 최면수사 대상자들의 마음을 알려면 공부를 하며 지식을 쌓으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퇴직 후에도 그런 공부를 했었던 거죠.

[Q6 은퇴 후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조언 ]

요즘은 정부기관에서도 해외연수 기회를 많이 제공되고 있거든요. 내 부서가 아니더라도 정보를 많이 검색해가지고

빨리 선점을 해서 다녀오시면 좋은 전문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거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전문성을 대학원에 가서 비슷한 학과에서 공부를 하면서 그 동안 쌓아 왔던 경험,

그리고 실험했던 것 그런 자료를 가지고 하면 논문 쓰기도 좋을 것이고

충분히 졸업이라든가 은퇴 후에 활용할 수 있는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Q7 앞으로의 계획은? ]

학교라든지 이런 곳에서는 MOU를 맺어서 수익금을 낼 수 있도록 하고.

보다 더 값 싸고 좋은 장비 개발을 저희 조합 회원들하고 토의를 해서 수요처에 공급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감정업무라는 것은 감정을 잘 해서 실체적 진실을 밝혀서, 마땅히 범인한테는 처벌을 받게 하는 것이고,

피해자에게는 피해 복구를 하는 데 노력하려고 합니다.

[전문가는 죽을 때까지 정년이 없다는 그의 철학을 본받아

자신의 전문성과 경험을 활용하자


KIRD 로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