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RD 로고
은퇴 후 국내 최초 기술 실용화 창업 도전]
무모하게 그러나 과감하게 국산 기술을 실용화에 옮긴 그런 기술자 조순행이라고 했으면 좋겠습니다. 저 연구보고서 하나 쓰는데 1년 걸리고 어떤 거는 3년, 5년 걸려서 연구보고서 하나 쓰기도 하고요. 그런데 이런 연구보고서들이 나중에 폐기물처리장에 태워버리거나 없애버리고 그러잖아요. 그래서 그동안 해왔던 일을 결과를 썩히지 말고 실제 실용화하려면 과감하게, 무모하게 실천에 옮겨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해가지고, 제가 생각할 적에 좀 무모하게 일을 벌인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듭니다.
[조순행 대표 사진
조순행 대표
소속·직위: ㈜젠스엔지니어링 대표
학력:
서울대 화학공학 학사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공학과 석사
프랑스 국립로렌과학기술원(INPL) 화학공학 박사
경력:
㈜코오롱 기술연구소 관리그룹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절약연구부장
에너지관리공단 분리기술산업단장, 분리기술연구회장
충남대학교 화공과 겸임교수]
[Q1 대표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
저는 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30년 넘게 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퇴직하고 그동안 연구했던 기술을 사업화해보자 해서 젠스엔지니어링이라는 회사를 창업해서 대표로 있는 조순행 대표입니다.
[Q2 제품소개 부탁드립니다. ]
요즘 수소경제가 상당히 세계적으로 청정에너지 보급을 위해서 필요한 그런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수소의 연료전지 자동차에 들어가는 연료라든지 또는 각종 화학 공장에서 필요한 고순도 수소가 필요할 때 이런 수소를 제조하는 그런 시설이 필요하게 되겠습니다. 저희들이 설계한 공장도 여수, 울산, 영주, 대산, 이런 여러 가운데 저희들이 설계한 시설로 설치하고 운영되고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Q3 창업을 한 동기는 무엇인가요? ]
제가 연구원 생활을 30년 넘게 했지만, 그러고서 많은 연구보고서도 내고, 논문도 내고, 특허도 내고 했지만 그것이 실제 실용화 적용된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 해왔던 일을 사업화로 해보자 해서 창업을 하게 된 것입니다. 또 요즘 많이 대두되고 있는 환경물질을 최소화하고 그런 데 제 기술을 가지고 활용하면 이롭게 적용할 수 있는 데가 많이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해가지고 그런 쪽으로 사업을 시작했던 겁니다.
[30년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 후
국내 최초로 99.999% 초고순도 생산 기술 개발
우수한 성능과 저렴한 투자비로
연간 150억원 가량의 에너지절감 실현!]
[Q4 국산 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셨나요? ]
수소 같은 경우는 벌써 한 50년 전부터 미국, 독일 이런 데서 국내에다가 공급을 했었어요. 석유화학단지나 이런 데 공급을 했는데, 이 사람들은 블랙박스에 그 안에 무슨 기술이 들어있는지, 그 안에 뭐가 들어 있는지 보여주지도 않고 완전히 깜깜 이런 거예요. 그래서 국내 업체들이 그런 것을 필요로 할 적에는 그 사람들이 요구하는 데로 돈도 주고, 만약에 문제가 있으면 이거 어떻게 하는지 알려달라고 돈을 얼마나 추가로 내야 된다고. 그 사람들이 하자는 대로 따라 가고 했었는데, 이제 제가 연구소에 있으면서 이 기술을 개발해서 국내에서도 이거를 수요자들이 요구하는 대로 거기에 맞춰서 해결해줄 수 있다. 수소가 먼저는 순도가 포나인 99.99%였는데, 식스나인, 그것보다 백배 더 순도 높은 99.9999% 수소를 정제하는 것을 연구해달라고 해가지고요. 그것도 이 실험 장치로 실험해가지고 지금 아마 내년도쯤에는 그 불소가 들어있는 대기 중으로 나가면 환경오염물질 독극물이니까 그것을 회수해가지고 원료로 재활용하는 그런 시설을 저희들이 지금 실험해가지고 나온 결과를 가지고 설계해서 제작을 할 거예요. 그러다보니까 여기저기, 여수, 울산, 영주, 대산, 이런데서 일이 자꾸 늘어나더라고요.
[Q5 연구소 창업을 위한 조언 ]
연구소에서 연구원들이 창업 할 적에는 연구원 내에 연구원 창업규정이 있습니다. 그 연구원 창업규정에 의해서 연구소에 있는 라이선스 이런 것을 이용해서 창업하는데 활용하겠다. 그런 내용을 안으로 올려서 연구 창업 심의위원회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렇게 할 적에는 필요에 따라서는 무상으로 그 기술을 이전받아서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기술료를 내고 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케이스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제가 개발했던 기술이 산업화가 안 돼서 활용이 안 됐던 기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으로 이전 받아서 하는 것으로 결정을 해서 했습니다.
[Q6 은퇴 후 창업을 생각하는 분에게 하고싶은 말은? ]
만약에 창업을 해야 되겠다 하는 마음이 있는 사람 같으면, 망설이지 말고 내년에 해야 되겠다 또는 내일 해야 되겠다. 그렇게 자꾸 미루지 말고 생각날 때는 바로 실행에 옮겨서 해보고 실패를 하더라도 후회는 없지만 안 해보고 해봐야지 해봐야지 하다가 시간이 지나고 나서 정말로 기회가 없어지면 후회가 더 커질 테니까, 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실행에 옮기는 게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저와 같이 퇴직한 그런 연구원들 중에도 어떤 사람 만나보면 ‘사업을 해야 되겠는데’, ‘어떻게 해야 될까’ 하다가 2년 지나고 3년 지나고 시간 지나고 나면 기회가 없어지는 거예요. 그래서 그런 마음이 있는 분 같으면 그런 생각이 날 때 바로 실행에 옮기는 게 후회를 줄일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Q7 향후 목표와 계획은? ]
장기적으로, 세계적으로 이 문제가 그런 오염물질을 최소로 줄이는 그런 방향으로 에너지사용이 나아가야 되겠고. 같이 꼭 사용해야 할 때에도 절약해서 조금 배출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계속 나가야 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을 하공. 그런 측면에서 제가 퇴직하고 벌써 한 10년 가까이 지났지만, 좀 활동할 수 있을 때까지는 그런 오염물질 줄이는 쪽에 조금이라도 이바지 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갈고 닦은 기술을
무모하게 그리고 과감하게 실천에 옮겨
국내 첫 기술 실용화에 앞장서다
KIRD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