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클럽 K-클럽

동영상

"우린 대화가 필요해"… 융합연구 성과 창출을 위한 고수들의 외침
  • 작성자전체관리자
  • 등록일2021-01-04
  • 조회수668
  • 추천수0
  • 댓글수0
자막안내

[“우린 대화가 필요해

융합연구 성과 창출을 위한 고수들의 외침]

[KIRD 로고

과학기술인 경력개발 스토리

타 전공과의 융합연구를 이끄는 백승재 센터장]

[Q1 연구원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ICT융합연구센터 센터장 백승재 입니다.

저희 센터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성과의 ICT 기술기반 실용화 및 해양 IT 선도연구 발굴, 진행 등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Q2 지금까지 어떤 경력 경로를 거쳐오셨나요? ]

학사는 전기공학부로 입학을 했는데요,

이후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로 통합이 되면서 처음으로 컴퓨터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이후에 컴퓨터 과학으로 석사 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요.

박사 졸업하기 전에 벤처붐이던 시절에 새로운 메모리와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벤처를 만들어서

일년 반 정도 일을 했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2년 반 가량 post-doc으로 연구를 했었고,

잠시 LG전자를 거쳐, 단국대학교에 교원으로 근무했었습니다.

그 이후 2016년부터는 저의 전공과 조금 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는 여기 해양과학기술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Q3 다양한 연구분야의 팀원을 융합하여 팀을 이끄신 노하우를 들려주세요 ]

팀내 융합을 위해서 대화가 통하는 단계로 만드는 것까지가 가장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벤처를 하던 시절에 배웠던 건 팀을 구성할 때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첫 번째는 동일 전공자끼리 팀을 구성하는 거고 두 번째 방법은 다른 전공자끼리 팀을 구성하는 법이라고 합니다

초기의 성과는 전자 동일한 전공자 팀이 높지만

팀내 구성원 간의 대화가 통하는 시점 후부터는 다양한 전공자로 이루어진 팀의 성과가 훨씬 높다고 합니다.

그러한 단계까지 서로 구성원 간의 대화가 통할 수 있는 시점까지 만들어내는 게 가장 어려웠던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원활하게 대화가 되는 팀을 만들기 위해서 업무적인 부분, 연구적인 내용에 대한 공유도 중요하지만

결국엔 사람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서로 간에 대한 신뢰가 중요하고요,

따라서 저희들은 융합연구센터라는 이름답게 술도 융합할 수 있는 술만 먹는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는데요

우리가 이렇게 업무시간 외에도 서로간에 융합될 수 있는 기회를 자주 만들어서

대화가 통하는 그런 집단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4 본인전공과 다른 분야의 일을 하는 연구자에게 조언을 주신다면? ]

다 각자 본인의 연구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경력연계나 심화를 위해서는 자기 전공에 대한 지식과 자존심을 내려놓을 수 있어야 합니다.

저도 개인적으로 컴퓨터가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컴퓨터로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에 속해있지 않은 이상 자기 전공은 도구일 뿐이고,

화학자체가 목적인 기관이 아니면 화학이라는 학문은 도구가 되고,

생물자체가 목적인 기관이 아니면 생물이라는 학문도 도구가 됩니다.

그 고집과 자존심을 내려놓지 못하면 개인의 정체성 확립이 어렵다고 봅니다.

[Q5 향후에는 어떤 연구를 계획중이신지 궁금합니다 ]

육상 대비 가장 열악한 게 배터리와 네트워크와 융합할 수 있는 기술이 없나?

전기를 끌어다 쓸 수 없는 해양의 환경 특성상 배터리 문제를 피할 수도 없고요.

그래서 기존과는 다른 차원의 전력과 배터리에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려 하려고요,

그리고 이전에도 말씀드렸지만 네트워크이 굉장히 열악한 환경입니다.

따라서 그 네트워크와 관련된 연구를 추진하는 것이 저희 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일이구요.

네트워크가 열악한 환경이기 때문에 기존 육상에 가지고 있는

대형 컴퓨팅 클러스터들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동형 슈퍼컴퓨터등의 연구에 대해서 진행하고자 합니다.

[백승재 센터장 사진

백승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센터장

학력

- 단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

- 단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

- 단국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학사

경력

- 더인 연구소장

- 단국대학교 조교수

- 피츠버그대학교(미국) Post-doc

- 프롬나이 책임연구원


KIRD 로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