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 경력개발 스토리
국내 원자력기술 최고 권위자
정용환 박사]
[Q1 박사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
한국 원자력 연구원에서 원자력 소재를 개발하고 있는 정용환입니다.
[Q2 지금까지 어떤 경력 경로를 거쳐오셨나요? ]
저는 대학원에서 재료공학으로 석사 학위를 마치고 원자력 연구원에 입소했습니다.
원자력연구원에 입소하여 연세대학교 금속과공학과에 진학하여 박사학위를 받았고요.
박사 학위 주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핵심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지르코늄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Q3 독일에서 연구하시면서 어려운 점이 있으셨나요? ]
제가 1991년 선진 기술을 배우기 위하여 IAEA 장학생으로 독일에 파견을 가게 됩니다.
그래서 그 곳에 가보니 새로운 신소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나도 이제 새로운 신소재 프로젝트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을 했더니 너는 안 된다고 얘기를 하더라고요.
그러면서 기초연구나 하고 돌아가라 이렇게 얘기를 해요.
참 자존심도 상하고 화도 났지만 내가 마음 속에 다짐을 합니다.
내가 한국에 돌아가서 언젠가는 성능이 매우 좋은 한국형 신소재를
내 손으로 개발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고 한국에 들어옵니다.
그 이후에 16년 동안 신소재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저는 연구 과제를 성공하게 됩니다.
[Q4 연구수행 과정에서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으셨나요? ]
과제를 처음에 시작했을 때 저는 참 자신감 있게 시작을 했습니다.
이론대로하면은 충분히 새로운 소재가 나올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실제 샘플을 만들어서 실험을 해보면은 성능이 형편없이 나쁜 겁니다.
그래서 다시 시도를 했지만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런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기를 한 결과 아연 11번을 실패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마지막에 실패로부터 해답을 찾아서 다시 시도해서 12번째 새로운 신소재를 개발하게 됩니다.
[Q5 연구원에게 필요한 가장 중요한 연구 태도는 무엇일까요? ]
저는 34년간을 원자력연구소 근무하면서
한 가지 연구를 지르코늄이라는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25년 동안 해왔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연구원에게는 한 우물 연구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한 우물 연구를 할 수 있었기에 연구도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고
산업체 기술 이전도 할 수 있었고 국제 특허 소송에서 승리도 했고
제가 이런 성과로 대한민국 최고 과학자 자리까지 올라갈 수 있었기 때문에
한 우물 연구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정부에서 한 우물 정책을 세워줘야 되고
반면에 연구자도 연구성과로 보답하는 그 자세를 보여 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Q6 연구 과정에서 어려움에 직면하신 적이 있으셨나요? ]
제가 연구 과정에서 국제 특허 소송에 휘말린 사건이 있었습니다.
제가 신소재 개발을 하면서 국내 특허도 내고 외국에 특허도 내고
제일 마지막에 핵심 특허를 유럽 특허청에 등록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세계에서 가장 큰 원자력 회사인 프랑스의 아레바사에서 제 특허에 대해서 무효소송을 제기합니다.
그래서 그 당시에 무효소송을 갔다 제기 받았을 때 정말 힘들었습니다.
왜냐면은 저희들은 경험도 없었고 유산도 없었고 변리사도 없었고
누구한테 의지할 데가 없었기 때문에 저희들 연구원들이 똘똘 뭉쳐서 대응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5년간의 1차 소송에서 저희들이 승소를 했고
그 다음에 2년 반 동안의 2차 소송에서 승소를 할 수가 있었습니다.
[Q7 박사님의 직무 만족도와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
저는 연구원으로서 참 행복한 연구원입니다.
왜냐면 제가 25년간 변함없이 한 연구를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저는 정말 행복한 연구원이라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연구 과정에 있어서 제가 좋아하는 연구를 할 수 있었고
연구개발의 알파부터 오메가까지 연구개발의 전 주기를 경험했기 때문에 저는 과학자로서 여한이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제가 가지고 있는 연구 경험을 후배들에게 잘 전달해서
후배들이 연구를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 과학 대중화 활동에 저희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청소년들에게 꿈을 심어주는 이런 역할을 함으로 해서 제가 사회에 기여를 하고 싶습니다.
[정용환 단장 사진
정용환
한국원자력연구원 단장
학력
연세대학교 재료공학 석사
연세대학교 금속공학 박사
경력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재료기술개발단 단장
고려대학교 객원교수
수상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15년)
이달의 과학기술자상(`07년)
공적
고성능 하나(HANA) 신소재 피복관 개발
원자력계 최초 산업체 100억 기술이전
KIRD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