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클럽 K-클럽

동영상

트렌디한 연구보다는 본인이 정말 관심있는 연구를 하세요
  • 작성자전체관리자
  • 등록일2021-01-04
  • 조회수435
  • 추천수0
  • 댓글수0
자막안내

[과학기술인 경력개발 스토리

소리를 시각화하는 음향공학자 김양한 교수]

[Q1 교수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

네 저는 카이스트 기계공학과에 있는 김양한 교수입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나왔고요.

MIT에서 음향학, 진동, 신호처리 등등을 가지고 학위를 했습니다.

[Q2 한 가지 분야를 꾸준히 연구하신 계기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

그래서 저는 어떤 분야를 할 건가하는 거 가지고 고민을 많이 안 했습니다.

음향학 분야가 과학기술에서 굉장히 그 때 관심을 받는 분야였고

또 제가 오디오도 좋아하고 소리에 대해서 관심도 많아서

제가 장학금도 있고 그래서 제가 음향학을 아주 좋은 선생님들 밑에서 공부를 해서 굉장히 운이 좋았죠.

[Q3 경력개발 과정에서 기억에 남는 사건이 있으신가요? ]

1985년에 암스테르담에서 열리는 어느 조그만 학회를 갔다가

토요일하고 일요일 반 고흐 박물관에 가서 시간이 많으니까 천천히 그림을 자세하게 볼 기회가 있었는데

저 나름대로 상당히 깜짝 놀랬죠.

야 이 반고흐 같은 유명한 천재 화가가 이렇게 많은 스케치를 했구나

이 사람이 무엇을 위해서 이렇게 많이 연습을 했을까하는 것을 인제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고

그래서 이 사람은 자기가 관찰하는 것을 이렇게 평면의 어떤 형태로서 어떤 색깔로서 표현하는

일종의 관찰한 것을 변환시키는 작업을 엄청나게 열심히 했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래서 결국은 사운드 비주얼라이제이션 이라는 것도 우리가 눈에 보이는 것을 또 다른

도메인으로 또 다른 형태로 시각화하는 그런 개념일 것 같고

여러가지 많은 힌트를 얻고 영감도 얻었다고 볼 수가 있죠.

[Q4 전문성을 쌓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으셨다면 소개해주세요. ]

교과서를 제가 영어로 썼죠

제가 영어로 써서 출판을 하려고 했는데

그랬더니 그 출판사에서 아니 음향학 교과서가

많이 있는데 왜 그것을 또 내냐

나는 내 책이 굉장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랬더니

저를 잘 아는 그 존와일리 선수 그 유명한 그 책 출판사에서 그러면

그것이 얼만큼 가치가 있는지

소위 BookProposal 쓰라고 그래서 이제 BookProposal를 이제 쓰려고 보니까

이게 뭐 한 3,40 페이지를 써야되더라고요.

왜 네 책이 의미가 있느냐부터 시작해서

뭐 마켓이 어디에 있느냐

뭐 책이 다른 책과 어떤 면이 다른냐 뭐 이런걸 쭉 써서 내라고 그래서 그걸 내면

거기서 이제 북아메리카에 세 사람, 유럽에 세 사람, 아시아 두 사람한테 리뷰를 보내서

그 리뷰결과를 보고 결정을 한다고 그래요.

다행히 이제 좋은 평가를 받아서 이제 책을 내게 됐죠.

[Q5 전문성 개발을 위해 연구원이 지녀야 할 태도는 무엇인가요? ]

공학하는 사람들이 이제 하는 일이라는게 뭐냐하면은

내가 예를 들면 좋은 자동차를 만들고 싶다 이런 거 한번 생각해 보죠

설거지를 않하는 부엌을 만들고 싶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될까 두 가지 방법이 있을 겁니다.

리프로듀스, 비슷하게 만들어 보고 열심히 설거지를 해야 되겠죠

설거지에 에센셜한 경험을 해야하니까

그러한 경험이 쌓여서

소위 유레카 그런 경험을 자꾸만 하고

그런 경험을 다각도에 방향에서 하다보면

그 다음 단계에 인튜이션 직관에 의한 다음단계에 대한 어떤 깨달음이 올텐데

가장 쉽게 배울 수 있는 것이 미술관에 가서 그림을 감상하면서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6 연구자가 갖춰야 할 태도와 향후 계획이 궁금합니다. ]

자기가 정말 관심 있고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걸 열심히 하면 되지 뭐

뭐가 유행한다 그래서 그걸 쫓아가다 보면

허덕허덕되다가 땀만 많이 흘리고 도착해보니까 이미 경기가 끝날 수도 있어요.

열심히 도착해서 거기까지 가면 뭔가 될줄 알았는데

가니까 우리 이제 다 시합끝났어요.

그럴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러면 얼마나 허무하겠어요.

자기가 의미 있다고 생각하고 좋아한다 좋아하는 것을 열심히 하는데

그리고 그것을 잘 모아서 의미 있게 작품화 하는게

우리가 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인생을 사는 좋은 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하고

저도 그래서 제가 하고 있는 회사도 좀 잘 되고

제가 제 계획하고 있는 저술 활동도 좀 잘 되고 이랬으면 좋겠다 하는 것을

매일매일 생각하고 아침에 일어나면 아 공짜로 주는 오늘이 너무 감사합니다

그러면서 사는 거지요.

[김양한 명예교수 사진

김양한

KAIST 기계공학과 명예교수

학력

매사추세츠공과대학 대학원(MIT) 기계공학과 석사·박사

서울대학교 조선공학과 학사

경력

한국과학기술원 기계산업단 단장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편집위원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수상

미국음향학회(ASA) 로싱 상(Rossing Prize)

유튜브와 무크(MOOC)를 통해 대중에게 음향학 소개

저서: Sound Visualization and Manipulation집필


KIRD 로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