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클럽 K-클럽

동영상

"세상에 버려지는 연구는 없습니다"..동료와 함께 끊임없는 도전을!
  • 작성자전체관리자
  • 등록일2021-01-04
  • 조회수709
  • 추천수0
  • 댓글수0
자막안내

[“세상에 버려지는 연구는 없습니다

동료와 함께 끊임없는 도전을!]

[KIRD 로고

과학기술인 경력개발 스토리

전기방사기술의 선도자 김일두 교수]

[Q1 교수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입니다.

카이스트 재료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마치고 MIT 재료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마치고

MIT 재료공학과에서 2년간 Post-Doc을 거치고

우리나라 제 1호 정부출연연구소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전자재료 연구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 했었고요

2011년부터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Q2 그 동안 어떤 연구를 해오셨나요? ]

제가 그동안 참여했던 연구는 나노 합성, 고감도 가스센서 개발, 2차전지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소자 개발로 정리할 수 있을 듯합니다.

전기방사 일렉트로스피닝 기술로 불리구요.

그동안 국제 전기방사 학회에서 4번의 기조강연을 했을 정도로 저희들이 전기방사 분야는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Q3 전공을 선택하신 결정적인 계기는 무엇인가요? ]

저희 그 친누나가 도자기 공예를 전공 했는데요.

도자기는 흙을 빚어서 천삼백도 온도에서 구운 공예품을 말합니다.

세라믹 소재를 활용한 가장 대표적인 결과물이라고 생각이 되는데

어찌보면 가장 가까이서 도예 활용되는 세라민 무기 소재를 접할 수 있었구요.

무기 재료공학을 전공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였습니다.

[Q4 연구자로서의 중요한 역량은?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고 하잖아요. 융합 학문이 더욱 강조되는 시대이기에 저는 집단지성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자기 비전의 확립과 공유 또한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학생들에게 비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라고 하면 망설이는 경우들이 참 많습니다.

쑥스럽게 때문이기도 하고요. 때로는 비전에 대해서 정말 깊이있게 고민해보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학생들에게 저는 자꾸 반복해서 자기의 비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공유 하라고 권유 하는데요, 긴밀한 협업의 마음가짐 또한 중요합니다.

신소재 분야는 다른학과에 비해서 과학인용색인 Science Citation Index라고 하는 SCI 논문이 많이 나오는 편입니다.

[“과학인용색인(Science Citation Index, SCI)”

미국 과학정보연구소(Institute for Scientific Information, ISI)에서 제공하는 과학기술분야 논문인용정보]

학생과 교수 간의 긴밀한 협업이 매우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구요.

항상 머리와 가슴이 열려 있어야 합니다.

학생들간의 열띤 토론과 열린사고를 기반으로 유망소재에 대한 발전안을 제시하며

가치있는 배움을 할 때 큰 보람을 함께 나눌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Q5 실패를 두려워하는 연구자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씀은? ]

결론적으로 저는 실패한 경험이 없는 사람입니다.

제가 매우 유명하거나 훌륭해서 그런 것은 절대 아니고요. 실패는 포기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성공할 때까지 저는 계속 도전하니 실패는 없는 것이죠.

[Q6 향후 계획은 무엇인가요? ]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과제 제안서 탈락의 경험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삼성미래육성재단 과제 경우에 저도 3수만에 성공을 하였습니다.

세상에 버려지는 연구는 없습니다. 지금 안 되는 일은 있어도

이러한 것들이 다 밑거름이 되고 경험치가 됩니다.

좌절하고 포기하면 실패한 것이나 계속 나은 방법으로 도전하면 성장의 한 과정이라고 생각됩니다.

카이스트 교원창업 재도를 활용해 최근에 창업을 하였습니다.

회사명은 김일두 연구소이고요, 나노섬유 기반 미세먼지 필터를 만들어서 제품화하는 회사입니다.

최근 저희들 미세 먼지로 많이들 고통 받고 있는데

이러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고 그러한 것들을 통해서 인류에 기여하는 과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김일두 교수 사진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부 교수

학력

KAIST 신소재공학부 석사/박사

한양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학사

경력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원

수상

20회 송곡과학기술상


KIRD 로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