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도연구 #혁신관련 정책
저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도혁시연구단 소속 안형준 부연구위원입니다.
과학기술 혁신관련 정책 및 제도 연구를 비롯하여, 과학기술과 경제사회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사범대 물리학 #과학사와 과할철학 #한국초초우주인 30인에선발
사범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석사 때는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공부했습니다. 이후 과학 현장에서 저만의 연구주제를 탐색하고 싶어 과학기자로 3년간 일했습니다. 그때 한국 최초 우주인 선발 과정에 지원하여 30안 후보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우주개발 #과학기술학 #유학 #기자퇴사 #과학기술정책
그 후에, 우주개발에 대한 과학기술학 접근을 주제로 유학 준비를 위해 기자를 그만두었습니다. 1년간 준비 끝에 유학길에 올랐고 유학 준비와 학위 과정 중에도 산업 기술 연구회, 대학 등에서 관련 경험을 두루 쌓았습니다. 그리고 박사 학위를 마치고 바로 과학기술정책 연구원에 입사하였습니다.
#첫 직장 #연구원 #유학포기
석사를 마치고 가진 첫 경력이 기자였습니다. 즉, 기자에서 연구원으로 경력을 전환한 셈이었죠. 석사를 마치고 바로 유학을 가려 했지만 연구 주제도 불분명했고, 이력서에 넣을 경력도 없었습니다.
#과학현장 #인적네트워크 #주제탐색
그래서 3년 정도 과학 현장을 두루 경험해보자는 생각으로 기자를 시작했는데, 일하는 동안 항상 즐거웠고 결과적으로는 지금 하고 있는 일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기자 생활을 하면서 연구직 수행에 필요한 주제도 탐색할 수 있었고요.
#과학현장 #인적네트워크 #주제탐색
그래서 3년 정도 과학 현장을 두루 경험해보자는 생각으로 기자를 시작했는데, 일하는 동안 항상 즐거웠고 결과적으로는 지금 하고 있는 일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기자 생활을 하면서 연구직 수행에 필요한 주제도 탐색할 수 있었고요.
#우주인 선발과정 #우주마니아
기자 시절 도전했던 우주인 선발과정이 가장 큰 사건이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아마추어 천문을 했을 정도로 우주 마니아였는데, 기자라는 직업은 정보 접근 면에서도 도움이 되었고 정책적 문제의식을 키워주는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석사 시절 연구 경험은 이런 문제의식을 학술적으로 정의하고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었죠.
#도전적 #흡입력있는 글쓰기 역량
경력을 전화했던 매 순간이 도전적이었고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석사를 마치고 기자에 도전했을 때는 '돈을 주고 사서 읽을 정도의' 흡입력 있는 글쓰기 역량을 키워야 했고, 산업 기술 연구회에서 일할 때는 핵심 업무를 빠르게 파악하여 조직성과로 이어지게 해야 했죠.
#과학기술사 #역사학자 #정의 #해결
그리고, 유학을 떠나 과학기술사로 연구를 다시 시작했을 때는 역사학자로서의 학문에 대한 태도를 정립해야했고 과학기술정책 연구원에서 연구를 시작했을 때는 현실의 문제를 정책적으로 정의하고 해결하는 역량이 필요했습니다.
#결정의 순간 #리스크를 계산 #시나리오
결정의 순간에는 그에 따른 리스크를 고려할 수 밖에 없겠죠. 경력을 전환할 때, 전환 후 최상의 시나리오를 목표로 삼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려움이 닥쳤을 때 극보할 만한 상황이 되는지, 최악의 상황이 와도 나는 행복한 사람으로 남을 수 있는 것인지,
#끊임없는 고민 #후회없는선택 #최악을 생각하라
결국 나는 어떤 사람인지 끊이없이 고민해야 후회 없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최악의 시나리오와 가까운 상황이 발생해 실패했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지만, 미리 그런 상황을 생각해 둔 적이 있어 실패하지 않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
#업무만족도 최상 #의미있는 업무 #자신감
현재 하는 일과 직장에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재미있고, 의미 있는 과학기술 정책 관련 연구라면 어떤 것이든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학기술 #다양한경험 #네트워크 #문제해결
지금까지 쌓아온 과학기술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현장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학제적 접근을 시도해 보고 싶습니다.
#여러학문들 #활동과 경험 #다음경력전환 #뼈와살이되는것
저는 과학교육, 과학기술사, 과학철학, 과학저널리즘, 과학사회학, 과학기술정책, 과학대중화 등 과학과 관련된 여러 학문 영역과 활동을 경험하였습니다. 다음경력으로 전환할 때마다 이 모든 활동들 중 버릴 경험은 하나도 없다는 생각으로, 오늘의 제가 있기까지 과거의 경험들이 어떤 밑거름이 되었는지를 정리하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Q 연구원님만의 경력관리 비법이 있다면요?
인생은 매우 우연적인 일들의 연속이라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 모든 경험의 구슬들을 하나의 스토리 안에서 잘 꿰어 보물을 만드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번 시작한 일은 끝맺음을 확실히 하고, 이를 이력서에 업데이트하며 자신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고 앞날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