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RD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국내·외 학회지 370여편 게재
#액시온 #IBS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저는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액시온 검출실험을 하고 있는 윤성우입니다. IBS의 젊은 과학자(Young Scientist)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2015년 5월부터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CAPP)에서 액시온 검출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자공학 #재주생활 #입자물리연구소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
고등학교 시절 전자공학에 관심이 많았는데, 대학 재수생활을 하는 동안 우연히 이휘소 박사에 관한 책들을 접한 후 물리학으로 진로를 정했습니다. 고려대에서 물리학으로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유럽 입자물리연구소(CERN)와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Fermilab)에서 연구를 하면서 입자물리에 매료되었습니다.
#물리학 #입자물리 #양자적 미지세계
물리학은 모든 과학의 기초를 제공해주는 학문인데, 입자물리분야는 그야말로 기초과학 중의 기초과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양자적 미시세계를 연구함으로써 우리가 살고 있는 거대한 이 우주의 본질을 이해하려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매료가 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또한 저의 인생을 바꾼 인물인 이휘소 박사가 밟았던 자취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도 의미가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행복 #우주의탄생 #시간과공간 #생명
인생을 살면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는 많은 사람들의 고민거리일 것입니다. 저는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게 인생을 사는 행복이라고 느껴왔습니다. 막연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우주에 관한 동경, 우주가 어떻게 생겨나고 어디로 가는지, 시간과 공간의 의미는 무엇인지, 생명이란 무엇인지.... 이런 철학적인 질문에 과학적으로 답을 해 줄 수 있는데 게 바로 물리라고 생각했습니다. 전공에 대해 고민을 거의 하지 않을 만큼 물리라는 학문에 굉장히 매료되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공학분야 #궁극적인 질문 #물리학
귀국해서 잠시 공학분야로 진로를 변경할까 심각하게 고민을 했었는데 물리가 아닌 다른 전공을 한다는 게 스스로 용납되지 않았습니다. 물리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학문이기는 합니다. 만약에 우주를 비롯한 아주 궁극적인 질문들에 대해 완벽히 설명할 수 있는 퍼즐이 있다고 가정하고, 물리학을 통해 언젠가는 이 퍼즐을 다 짜맞출 수 있다고 생각하면 그 흥분을 감출 수가 없습니다.
#책한권 #군생활 #외국생활 #전환점
Change 저마다 인생의 전환점이 되는 몇 번의 계기가 있다고 봅니다. 그게 책 한 권이 될 수 있고, 2년이 넘는 군대생활이 될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의 외국생활이 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책 한 권으로 인생의 진로를 바꿨고, 군대생활을 통해 사회를 이해하게 되고 성격이 바뀌게 되었으며, 외국 생활을 통해 자신감이라는 중요한 자산을 얻었습니다. 다른 분들도 저마다의 계기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계기가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목표설정 #목표의식 #루틴
목표설정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목표의식이 더 중요합니다.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왜?'라고 물어보고는 그에 대한 궁극적인 답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자신이 하는 일에 자긍심을 가지세요. 그리고 자기가 하는 일에서 최고라고 여겨질 때까지 열심히 하세요. 그러지 않은 이상 당신은 다람쥐 쳇바퀴 돌아가듯 아침에 출근해서 루틴한 일을 하다 저녁에 퇴근하는 그냥 그렇고 그런 사람으로 남게 됩니다.
#리더의 역량 #여러분야의 관심 #인간관계
1) 리더로서의 역량을 키우세요. 리더의 자리에서 보다 폭넓은 안목이 나옵니다. 많은 것들이 보일 겁니다. 2) 여러 분야에 관심을 많이 가지세요. 현대 과학은 학제간 연구가 대부분입니다. 다른 분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참신한 아이디어들도 많을 것입니다. 3) 역지사지의 자세로 좋은 인간관계를 만드세요. 사회생활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꿈을 이루는데 더욱 중요한 요소로 다가올 것입니다.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과학의 대중화
암흑물질 분야에서 연구생활을 지속하면서 최고의 권위자가 되려는 노력을 할 것입니다. 여러 과학자들과 함께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암흑에너지를 비롯한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데 힘쓰고 싶습니다.마지막으로 모든 과학자들이 과학의 대중화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과학을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더 많은 대중에게 다가서는 과학자가 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