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클럽에서 김준범 멘토과 1:1 온라인 멘토링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 https://bit.ly/3qhAjwI
-----
미세먼지로 빼앗긴 봄을 되찾아 올 수 있을까?
언젠가부터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고 외출 준비를 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습니다. 미세먼지 농도가 심한 날은 종일 마스크를 쓰고 다녀야만 합니다.
아이들은 마스크 없이 마음껏 뛰어 놀지 못하고,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률은 흡연으로 인한 사망률을 앞지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세먼지로 인한 고통을 줄일 방법은 없을까요? '트루와공대 교수 김준범 교수가 ‘국내 지역별 미세먼지 지도’를 발표하여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 지역별 미세먼지 지도’는 미세먼지 및 미세먼지를 형성하는 2차 가스상물질의 배출자료를 연도별로 분석해 미세먼지 발생량을 평가합니다.
이 연구의 중요한 부분은 2차 가스상물질이 미세먼지화되는 부분을 산정한 것과 미세먼지 및 2차 가스상물질들의 체호흡기 영향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미세먼지 인체호흡기 영향지도를 만든 것 입니다.
김준범 교수는 환경 및 지속가능공학과 산업생태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유럽에서 활동하는 한국 과학자 중 파이낸셜 뉴스에서 노벨상 업적에 가까운 과학자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교수 자리를 고민 할 때 그의 담당 교수는 "더 좋은 환경과 다양한 포지션을 가진 전 세계를 대상으로 지원하라"고 조언했습니다. 김준범교수는 스스로 갖고 있던 고정관념을 깨고, 즐기면서 일할 수 있는 지금의 프랑스 트루와공대의 교수가 되었습니다.
교수의 꿈을 실현할 수 있었던 방법 중 하나는 롤모델을 찾고 그 사람을 자세하게 분석하여 똑같이 따라하는 것, 측 모방으로부터의 창조를 실천한 것입니다. 김교수는 존경하는 교수님의 강의 방법, 학생지도방법 등을 지금도 따라하고 있습니다.
경력 개발 방법의 다른 노력은 단기, 중기, 장기 목표를 세우고 주기적인 점검을 하여, 매년 12월에는 지난 1월부터 12월까지의 계획과 성과를 확인하고, 내년을 계획하는 시간을 가족들과 함께 갖는 것입니다.
마지막 경력 개발 방법은 항상 ‘한 쪽 문이 닫히면, 다른 쪽 문이 열린다'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진 것입니다. 원하는 바가 잘 되지 않을 때는 분노하거나 의기소침해 하지 않고, 다른 문을 향해 노력했기에 현재 좋은 환경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그는 과학자를 꿈꾸는 후배들에게 “넓은 무대를 경험하라"고 전합니다. 유럽은 계약직에 대한 편견도 적고, 계약직과 연구직 일자리가 많아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이렇게 쌓은 경력은 국내 대기업에 경력직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바탕이 됩니다.
또한 작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많이 경험하면 큰 자신감이 생기고, 생각을 계획으로, 계획을 실천으로 이어가면 곧 현실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김민준 교수는 지금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 베이징 공대와 협력하여 미세먼지 발자국 개념을 연구하는 김준범 교수. 국내와 국외의 데이터를 함께 분석, 보다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얻어 미세먼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그의 노력은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