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정보는 익명으로 작성되며, 여러분들의 고민을 함께 나누어 보세요.
Data Talks: Voi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searchers
K-STEM INSIGHT – Job opportunities in Korea
Q1. Where do students hope to work?
The most preferred type of workplace among students was public research labs(32.2%), followed by private research labs(23.4%) and universities (16.7%).
Q1. 어디로 취업하길 희망할까요?
- 학생들이 가장 희망하는 직장 유형은 ‘공공연구기관’ (32.2%)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민간기업 연구소’ (23.4%), ‘대학’ (16.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Q2. Where do they actually work?
In reality, the largest share of employees were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70.8%), followed by public research labs (13.8%) and private companies (5.6%).
Q2. 실제로는 어디로 취업할까요?
실제 재직자들의 소속 기관은 ‘대학’ (70.8%)로 가장 많았고, ‘공공연구기관’ (13.8%), ‘민간기업’ (5.6%)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As an international researcher, finding a job is not easy.” – International researcher at a private company
“I wish the recruitment process were more accessible.” – HR manager at a public research lab
- A career information platform dedicated to international researchers in STEM is needed!
“외국인으로서 일자리 찾기가 쉽지 않아요” – 민간기업 외국인 재직자
“채용 프로세스에 접근하기 쉬웠으면 좋겠어요” – 공공 연구소 인사담당자
- 이공계 외국인을 위한 경력 정보 제공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Q3. Which regions are most preferred?
Students mainly hoped to work in the capital region or major metropolitan cities (Seoul 47.2%, Busan 14.2%).
Similarly, most employees were also concentrated in these cities (Seoul 23.4%, Gyeonggi 15.2%).
Q3. 어느 지역에서 일하고 싶어하나요?
학생들은 주로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47.2%, 부산 14.2%)
실제 재직자들도 이러한 도시를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 23.4%, 경기 15.2%)
Q4. How is Korean proficiency before and after employment?
Overall, employees tended to rate their Korean proficiency lower than students did.
Q4. 취업 전·후 한국어는 어떤가요?
전반적으로 재직자가 자신의 한국어 수준을 더 낮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Everyday Korean and the specialized terms needed for research are quite different. We need tailored training programs.”
– International researcher at a university
“Since they can communicate in English, they don’t feel the need to learn Korean.
But for those less proficient in English, this can make workplace communication inconvenient.”
– University HR manager
- Strengthening Korean communication skills prior to entering the workplace is essential!
“일상 한국어와 연구에서 필요한 전문 용어가 다르기 때문에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해요”
– 대학 외국인 재직자
“영어로 소통이 가능하여 한국어를 별도로 배우려고 하지 않아요. 그런데 영어가 안되는 직원에게는 업무소통의 불편함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 대학 인사담당자
- 입사 전부터 한국어 소통 역량 강화가 필요합니다!
Want to hear the know-how of international researchers
who found employment in Korea?
Check out the Beyond K-Tech video!
한국에서 취업한 국제 연구자들의 노하우를 듣고 싶다면?
Beyond K-Tech 영상을 확인해보세요!
작성자 | 제목 | 등록일시 | 삭제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Please log in to leave a comment. LOGIN